본문 바로가기
술독1
- 크기
- 높이 55.5 / 입지름 31 / 바닥지름 31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
술을 담거나 저장 할 때 사용하는 용기.
외면에는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'第 號', '酒造用 大正十三年 月日○○', '容量 參斗五升'을 차례로 새겼고
네모 상자를 그려 그 안에 주소 '谷城郡 三岐面'을 새겨 넣었다.
술독2
- 크기
- 높이 55.5 / 입지름 31 / 바닥지름 31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
술을 담거나 저장 할 때 사용하는 용기.
외면에는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'第 號', '酒造用 大正十三年 月日○○', '容量 參斗五升'을 차례로 새겼고
네모 상자를 그려 그 안에 주소 '谷城郡 三岐面'을 새겨 넣었다.
술독3
- 크기
- 높이 55.5 / 입지름 31 / 바닥지름 31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
술을 담거나 저장 할 때 사용하는 용기.
외면에는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'第 號', '酒造用 大正十三年 月日○○', '容量 參斗五升'을 차례로 새겼고
네모 상자를 그려 그 안에 주소 '谷城郡 三岐面'을 새겨 넣었다.
술독4
- 크기
- 높이 55.5 / 입지름 31 / 바닥지름 31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
술을 담거나 저장 할 때 사용하는 용기.
외면에는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'第 號', '酒造用 大正十三年 月日○○', '容量 參斗五升'을 차례로 새겼고
네모 상자를 그려 그 안에 주소 '谷城郡 三岐面'을 새겨 넣었다.
누룩틀1
- 크기
- 높이 10 / 지름 24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 누룩을 일정한 크기로 만들어 내는 틀이다. 틀안에 누룩을 넣어서 일정한 크기로 만들었다.
누룩틀2
- 크기
- 높이 10 / 지름 24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 누룩을 일정한 크기로 만들어 내는 틀이다. 틀안에 누룩을 넣어서 일정한 크기로 만들었다.
용수
- 크기
- 높이 34 / 너비 21.5
- 시대
- 20세기
- 설명
- 술 등을 거르는데 사용되는 용기이다. 용수는 조선시대 주막의 표식으로도 사용되었다.
술체1
- 크기
- 높이 15.7 / 지름 28.5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 술을 거르는 데 사용하는 도구이다.
술체2
- 크기
- 높이 15.7 / 지름 28.5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 술을 거르는 데 사용하는 도구이다.
솥1
- 크기
- 전체너비 38.5 / 너비 38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 밥을 짓거나 음식을 끓이는 그릇이다. 술밥을 하는데 사용되었다.
솥2
- 크기
- 전체너비 38.5 / 너비 38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 밥을 짓거나 음식을 끓이는 그릇이다. 술밥을 하는데 사용되었다.
시루1
- 크기
- 높이 11.5 / 입지름 19.5 / 바닥지름 11.5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 술을 빚을 때 고두밥 등을 찌는데 사용하는 용기이다.
시루2
- 크기
- 높이 11.5 / 입지름 19.5 / 바닥지름 11.5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 술을 빚을 때 고두밥 등을 찌는데 사용하는 용기이다.
시루3
- 크기
- 높이 11.5 / 입지름 19.5 / 바닥지름 11.5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 술을 빚을 때 고두밥 등을 찌는데 사용하는 용기이다.
시루4
- 크기
- 높이 11.5 / 입지름 19.5 / 바닥지름 11.5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 술을 빚을 때 고두밥 등을 찌는데 사용하는 용기이다.
시루밑
- 크기
- 지름 25.5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 고두밥을 찌기 위해 사용되는 찜기인 시루 안쪽 밑바닥에 까는 받침이다.
돗자리
- 크기
- 세로 56.5 / 가로 97.5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 술을 빚은 지에밥을 펴서 고루 식히는데 사용되었다.
쳇다리
- 크기
- 길이 76 / 너비 62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 술을 거를 때 체 밑에 받치는 걸치게이다.
쳇도리(깔대기)1
- 크기
- 높이 17 / 입지름 31.3 / 바닥지름 8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 술 등의 액체를 입구가 작은 용기에 옮겨 따를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.
쳇도리(깔대기)2
- 크기
- 높이 17 / 입지름 31.3 / 바닥지름 8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 술 등의 액체를 입구가 작은 용기에 옮겨 따를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.
쳇도리(깔대기)3
- 크기
- 높이 17 / 입지름 31.3 / 바닥지름 8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 술 등의 액체를 입구가 작은 용기에 옮겨 따를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.
쳇도리(깔대기)4
- 크기
- 높이 17 / 입지름 31.3 / 바닥지름 8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 술 등의 액체를 입구가 작은 용기에 옮겨 따를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.
바가지1
- 크기
- 높이 11.5 / 길이 26.5 / 너비 22.2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 술을 만들 때 물이나 술을 퍼서 담을 때 사용하는 용기이다.
바가지2
- 크기
- 높이 11.5 / 길이 26.5 / 너비 22.2
- 시대
- 일제강점기
- 설명
- 술을 만들 때 물이나 술을 퍼서 담을 때 사용하는 용기이다.